수소용품은 수소분야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이다
--------------------------------------------------------------------------------------------
1. 개요
- 수소용품이란 연료전지와 수소관련 용품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용품을 말한다.
2. 종류
(1) 연료전지
-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장치로 고정형과 이동형이 있다.
ㄱ. 고정형(연료소비량이 232.6KW(20만kcal/h) 이하)
ㄴ. 이동형(지게차, 드론)
- 수소용품 적용 제외 대상 : 현대자동차 넥쏘와 같이 차량의 구동을 위해 자동차에 장착되는 연료전지는 제외
(2) 수전해설비
-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제조하는 설비
(3) 수소추출설비
- LNG, LPG로부터 수증기개질 등의 방법을 통해 수소를 추하는 설비
3. 결론
- 수소는 미래 청청에너지원의 하나로 연소시 공해물질 배출이 없으며 연소시 같은 무게의 가솔린보다 3배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수소에너지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우리나라는 2020년도에 세계 최초로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다른 나라보다 앞서 전국 각지에 수소충전소를 보급하고 수소경제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
* 후기
수소용품은 깊게 학습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내용만으로 1장 정리가 가능한 문제다.
KGS에서 수소용품 제조시설에 관한 책자도 구매 가능하며 수소에 대한 안전관리 제도, 수소 제조시설 점검, 수소 사고사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도 건기원 책이 여러모로 워낙 잘 정리되어있어 학습에는 건기원 책을 적극 추천한다.


--------------------------------------------------------------------------------------------
* 최종 점수(TBA)
'가스기술사 필기 기출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기술사 135회 2교시 수소 분리 및 정제 위한 압력변환흡착 PSA 안전 검토사항 (0) | 2025.03.11 |
---|---|
가스기술사 135회 3교시 LPG 충전소 가스누출 사고, 이입작업 기준, 폭발/화재/인명피해 방지대책 (0) | 2025.03.09 |
가스기술사 135회 4교시 가스계량기 설치장소, 설치 시 주의사항, 고장원인 및 대책 (0) | 2025.03.07 |
가스기술사 135회 2교시 SMS과 PSM의 정의, 적용대상, 구성요소 (0) | 2025.03.04 |
가스기술사 135회 3교시 밀폐공간 정의 및 유형,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