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기술사 필기 기출 정리

가스기술사 120회 1교시 PE밸브 상당 SRD값에 따른 최고사용압력

yesjeon 2025. 3. 16. 21:01

가스산업 규제완화에 관한 기사를 보던 중에 PE관에 대한 내용이 나왔다. PE관은 국내에서 약 40년 이상 사용하고 있으나 아직도 발전이 정체되어 있어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내용이였다. 기능장 준비시 PE관에 대해 조금 공부했었는데 이번에 다시 한번 정리해볼겸 글로 작성해보았다.

 

PE관의 발전 필요성

출처 : https://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445

 

[가스산업 규제완화, 현장의 소리를 듣다 - 기획취재 ⑤] 가스기기·부품업계2·3종 시공사도 5만kc

[가스신문 합동취재반 = 한상열 기자·유재준 기자·주병국 기자·이경인 기자·김재형 기자·양인범 기자·한상원 기자] 가스레인지,보일러, 온수기, 산업용버너, 흡수식 냉온수기, GHP 등의 연소

www.gasnews.com

 

--------------------------------------------------------------------------------------------

 

PE관에 관한 내용으로는 SDR값에 따른 사용압력범위, PE관과 PE밸브 특징, PE관 이음방법 등이 있다.

가스기술사 시험에서는 2020년도 120회에 1교시 문제로 출제되었다.

출처 : 한국가스기술사회 예비기술사 정보지원

 

--------------------------------------------------------------------------------------------

 

1. 개요

 - 도시가스 매설배관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배관재료로는 가스용 폴리에틸렌관(PE관), 폴리에틸렌 피복강관(PLP관),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 피복강관 등이 있으며 PE관 특징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다.

 

2. SDR값에 따른 사용압력 범위(MPa)

 (1) SDR이란 Standard Dimension Ratio의 약자로 SDR = D(바깥지름)/t(최소두께)이다. 

      주) D : PE배관의 표준 외경 (mm),  t : 표준외경 D에서 SDR값이 최소인 배관의 최소 두께 (mm)

 (2) SDR값에 따른 사용압력

구분 상당 SDR 사용압력
1호관 11이하 0.4MPa 이하
2호관 17이하 0.25MPa 이하
3호관 21이하 0.2MPa 이하

   즉, 배관 두께가 얇을수록 SDR값은 커지고 낮은 압력을 사용해야 한다고 보면 된다.

 

3. PE관 특징

 (1) 염분이나 수분에 의한 영향이 없어 부식우려가 없다.

 (2)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사용가스와 반응우려가 없다.

 (3) 강관보다 경제적이고 시공이 간편하다.

 (4) 유연성이 좋아 진동이나 지진 등에 안전하다.

 (5) 충격에 강하고 -80C까지 사용가능하여 동파 우려가 없다.

 

4. PE관 접합기준 및 방법

 - 이음방법 : 맞대기 융착이음, 소켓 융착이음, 새들 융착이음

 - 융착이음의 3요소 : 온도, 압력, 시간

 (1) 관의 재질, 설치조건 및 주위여건 등을 고려하여 실시하며 비, 눈 시에는 천막 등으로 보호조치 후 융착

 (2) 수분,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접합

 (3) 금속관과 접합은 T/F(transition fitting)을 사용

 (4) 관의 지름이 상이할 경우 관 이음매를 사용하여 접합

 (5) 접합 전에 접합부를 전용 스크레이프를 사용하여 다듬질

 

5. PE밸브

 (1) 특징

  - 사용온도 : -29C이상 38C이하

  - 사용압력 : 0.4MPa 이하

 (2) 장점

  - 시공이 간편하고 부식이 없어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맨홀이 소형이다.

 

6. 기타

 - PE관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로케팅와이어, 피그, 매설깊이 기준, 보호판/보호포 기준, 표지판, 라인마크 등의 내용이 있다.

 

본문내용 출처 : 가스 기사&산업기사 실기(서상희 저)